[월간삶디] 비대면생태보고서1 《방과 후 1열》

N개의 방과후 프로젝트의 고백

“넌 대체 누굴 보고 있는 거야, 내가 지금 여기 눈 앞에 서있는데.” 
1992년 히트작, 드라마 <질투>의 OST 한 소절이 귓가에 맴돕니다. 
 화상회의로 사람들을 만나기 시작하면서 
벼리(삶디 직원을 부르는 말)들은 하나같이 말했습니다. 
 “대체 어딜 보는지 모르겠어. 아는지 모르는지, 좋은지 싫은지 알아챌 수가 있어야지.” 
이 말을 들을 때마다 저 노래가 생각났고요. 
 만나는 법이 바뀌고 있어요. 
역병이 막 돌기 시작할 땐 아랫돌 빼서 윗돌 끼우면 될 줄 알았지만, 더 이상 아니고. 
 그래서 올해 삶디의 벼리들은 ‘일의 뼈대’라는 ‘벼리’의 본래 뜻처럼 
이름값을 톡톡히 하는 중입니다. 
 하루짜리 수업부터 석 달 프로젝트까지 다시 틀을 짜고 있어요. 
 처음엔 신박한 온라인 도구를 찾고 익히는 데 정신이 없었죠. 
하지만 비대면으로 만날수록 고민은 짙어졌고 회의는 숱하게 늘었어요. 
그리고 맺음말은 늘 같았습니다. 
 “하아, 이게 맞을까.” 
 비대면 학습을 실험하며 일 년의 반을 보내고 있습니다. 
모두가 변화를 말하지만, 끝끝내 변하지 않을 것들을 생각해봤어요.
 우리는 배우고 만들고 도우며 살겠죠, 
끝끝내 연결된 채로. 
이번 6월부터 8월까지, 서른아홉 명의 십 대들과〈N개의 방과후 프로젝트〉를 했습니다.
얼굴 딱 두 번 보고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높아져 
나머지 여덟 번은 온라인에서 만났어요. 
그리고 벼리들은 여섯 개의 프로젝트를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써 내려갔습니다.
‘포스트’ 코로나까지는 몰라도  
‘지금’을 해석하는 작은 힘이 생기지 않을까, 
헝클어진 실의 첫머리가 삐죽 보이지 않을까 기대하면서요. 
누군가에게 쓸모 있는 기록이 되면 더 좋고요. 
 그나저나 눈 맞추기도 어려운데 어떻게 만났냐고요? 
어느 팀은 포즈로 약속을 정했고, 다른 팀은 꼬박꼬박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물었대요. 
 이 없으면 잇몸이죠.
 
문제의 본질은 ‘비대면’이 아닌 듯해요.
‘제대로 만나 제대로 배우는 것이 무엇이냐’는 질문이 올해의 찐이겠죠.
01
우물밖디자인
비대면일 때도 기록은 여전히 중요했다. 
“노트에 기록하고 있죠?” 
틈틈이, 수시로 물었다. 눈과 귀뿐만 아니라 손으로도 수업에 참여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02
세상에서가장느린식당

앞으로 세가식은 어떻게 해야 하나?
씨앗과 화분을 보내, 각자 길러 볼까?
잘 키워 식탁 위로 올릴 수 있을까? 
무튼 모두가 잘 준비하면, 된다.
03
인생의복점
인생은 역시 계획대로 안 된다. 
이름답게 계획이 전부 틀어졌다. 
원하든 원치 않든 비대면으로 전환해야 했다.
의복점에서 옷을 지을 수 없다니.
04
쓸모를만드는나무
설계는 미완성이었다. 
하지만 어느 때보다 우리는 짓고 싶었다. 
의지를 완성한 시간이었달까. 
의외 투성이었는데, 그게 새롭게 재밌었다.
05
엔딩크레딧
영화의 소재는 일상에서 나오니 
오늘 있었던 일들을 말로 꺼내자고 했다. 
핸드폰으로 본 영상, 자기 전 했던 생각,
말도 안되는 꿈 이야기까지.
06
말랑말랑음악캠프
일주일에 딱 한 곡을 추천할 수 있다면?
고르고 또 고르게 된다.
‘이 곡이 왜 나의 띵곡이지’를 말하기 위해 
새롭게 머리를 굴리게 된다. 
열린책방 8월의 추천도서
김미경의 리부트
  

‘언제 돌아갈 수 있을까’를 물을 때는 지났다. 
심 호 흡 하 고 
‘다가올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할까?’를 
묻고 또 물어야 할 시간이다.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
hello@samdi.or.kr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160번길 31-37 062-232-1324
수신거부 Unsubscribe

목록보기
메뉴 닫기